스마트 큐레이션
국산 항체치료제, 남아공 변이에는 효과 없어 본문
반응형
국내 셀트리온이 개발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가 기존 바이러스와 영국발(發) 변이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있지만,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1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셀트리온이 개발한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주'는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 6종(S, L, V, G, GH, GR)에 우수한 중화능력을 보였다고 밝혔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에는 우수한 중화능력을 보였지만,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는 거의 효과가 없었다.
권준욱 방대본 제2부본부장(국립보건연구원장)은 "해외 논문을 보면 남아공 및 브라질 변이주에는 'E484K'라는 스파이크(돌기) 단백질이 있는데, E484K처럼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할 때 활용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서 결정적 변이가 일어난 경우 미국 항체치료제도 효능이 매우 낮았다"며 "어느 정도 예측했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방대본은 이번 결과를 토대로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에게는 국산 항체치료제 사용을 제한하도록 권고했다.
한편 미국산 '렘데시비르'의 경우 기존 바이러스(S, GH, GR)뿐 아니라 영국·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모두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반응형
'리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당서현 공공주택 취소판결 ㄷㄷㄷ (0) | 2021.02.13 |
---|---|
‘생리대함’ 설치 공약 내 건 초등학생이 한 회사에 후원을 요청하며 쓴 글 (0) | 2021.02.13 |
사고로 팔 잃은 아이들을 ‘영웅’으로 만들어주는 아동용 의수 (0) | 2021.02.12 |
김치에 대한 중국 교수의 생각 (0) | 2021.02.12 |
학폭은 꼭 널리 알려지면 좋겠어요 (0) | 2021.02.1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