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강간 사건'으로 발칵 뒤집힌 영남대…
영남대 A 교수가 국민청원에까지 올린 ‘동료 교수에 의한 강간’ 사건이 과연 무엇이기에 피해 당사자인 여교수가 자신의 이름을 공개하면서까지 청와대 국민청원을 올린 것일까? 이 사건이 일반인들에 알려진 것은 지난 2월이다. A 교수는 B 교수를 강간죄, C 교수를 강요죄로 각각 고소했다. 경찰 등에 따르면 A 교수는 지난 2019년 6월 B 교수와 함께 회식을 했으며, 회식을 마친 뒤 B 교수가 집에 바래다준다며 집까지 들어와서는 완력으로 자신을 강간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소 내용이 일부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서 사건의 향방에 대해 관심이 쏠리기 시작했다. 청와대 국민청원으로까지 올라오면서 사건의 ‘진실’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당시 A 교수는 교내 한 연구센터의 부센터장으로, B 교수는 센터장을 각각 맡아 연구 활동을 하고 있었다. 강요죄로 고소당한 C 교수도 센터에서 연구에 참여하고 있었다. C 교수는 올해 부총장 보직을 맡아 4월 20일까지 부총장으로 있었다.
A 교수는 B 교수가 최근까지도 성희롱과 성추행을 일삼았다는 주장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 교수는 부총장인 C 교수에게 피해 사실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했으나 오히려 B 교수를 두둔하며 자신을 부센터장에서 직위 해제하고 회의에서도 배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 C 교수는 “연구 배제 의혹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건이 A 교수의 고소로 알려진 데 이어 청와대 국민청원까지로 이어지는 등 논란이 커지자 영남대는 당혹해하고 있다. 영남대 측은 A 교수가 “영남대가 덮기에 급급하다”고 주장한 데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학교 측은 국민청원이 있는 뒤 지난 13일 총장 명의로 “이 사안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동안 어떠한 사실을 덮거나 축소하지 않았다. 수사기관에서 이미 조사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우리 대학교도 관계 기관이 제시하는 관련 규정 등에 따라 원칙과 절차에 따라 자체 조사를 진행해 왔다”며 “앞으로도 공정하고 철저하게 조사하여 한 점의 의혹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영남대는 그동안 경찰의 수사와는 별도로 자체 진상 조사를 벌여왔다. 우선 A 교수가 강요죄로 고소한 C 교수에 대해서는 부총장 직을 면직처리했다. 또 이달 초에는 학교 양성평등위원회를 열어 자체 진상조사를 벌였다. 앞으로 위원회를 몇 차례 더 열어 확실한 진상을 파악할 방침이다. 그러나 A 교수가 요구한 B 교수 학생과의 분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B 교수는 정상적으로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학교 측은 “아직 경찰의 수사가 진행되고 있고, 양측의 주장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이라 섣불리 그 같은 결정을 내릴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A교수가 경찰에 고소하기에 앞서 지난해 9~10월쯤에도 학교 측이 진상조사를 벌이려던 적이 있었다. 당시 A 교수가 학교 측에 ‘성희롱 건’에 해당하는 일이 있다며 해결을 촉구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학교 측은 “당시 사건의 진상 파악과 해결을 위해 A 교수에게 신원 제공 등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알렸는데, A 교수가 ‘그러면 신경 쓰지 말고 놔둬라’고 해서 더 이상 진행이 되지 않은 사안”이라고 해명했다. A 교수가 진상 규명 등을 위한 절차를 밟지 않아서 중단된 것이지 학교 측이 사건을 덮으려 한 적은 없다는 것이다.
고소를 접수한 경찰의 수사는 진행되고 있다. 사건을 맡는 경북 경산경찰서는 고소인과 피고소인을 불러 조사를 벌였다. 아직 정확한 사실 관계 규명이 되지 않아 앞으로도 경찰의 추가 조사가 더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